본문 바로가기
JAVA 기초 정리

JAVA 변수란 무엇인가

by kjwkjw 2020. 3. 4.

변수는 기억 공간이다.

 

변수는 값이 정해지지 않고 변할 수 있는 값이다.

 

변수는 기본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가 있다.

 

자료형 변수

 

1. 정수형

byte : 1byte는 8bit고 따라서 음수의 경우 -2^8~-1 양수의 경우 0~2^8 즉 -128~127까지 저장 가능하다.

short : 2byte로 -32768~32767까지 저장 가능하다.

int : 4byte로 -2147483648~214748647까지 저장 가능하다. 

long : 8byte로 -2^64~2^64-1까지 저장 가능하다.

 

2. 실수형

float : 4byte로 1.4E-45 ~ 3.4028235E38까지 저장 가능하다.

double : 8byte로 4.9E-324 ~ 1.7976931348623157E308까지 저장 가능하다.

 

3. 문자형

char : 2byte로 \u0000~\uFFFF까지 저장 가능한다.

 

4. 논리형

boolean : true/false를 저장한다.

 

참조형 변수

 

대표적인 참조형 변수는 String과 Integer가 있다.

 

변수 사용하는 방법

 

1.  변수를 선언한다.

int i; (기억 공간이 확보되는 순간이다.)

 

2. 선언한 변수에 값을 넣는다.

i = 0; (변수를 저장할 때는 왼쪽이 변수, 오른쪽이 값이다.)

 

결과값은 무엇이 될까?
변수는 값을 바꿀수 있고 마지막 값을 기억한다.

 

변수에 변수를 대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i와 j 두 변수 모두 100을 갖지만 j는 완벽하 i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i의 값을 복사한 것뿐이다.

 

 

변수와 값은 연산이 가능하며. i = i+1의 경우 오른쪽이 먼저 작동한다.
이와 같은 실수를 할 수 있다. 변수는 반드시 선언된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두번째와 세번째의 결과 값이 다른 이유는?

자료형의 크기는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이다.

double은 실수를 나타내며 int보다 더 넓은 범위를 표현할 수 있다.

 

첫번째 결과는 j값 10.0이 출력된다.

 

두번째 결과에서 20.0이 출력 된 이유는? 자동 형변환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자동 형변환이란 다른 자료형의 연산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과는 더 넓은 자료형으로 자동으로 형변환 되는 것이다.

따라서 double인 10.0은 int인 10보다 큰 타입이기 때문에 자동 형변환이 발생하여 결과값이 20.0이 된다.

 

세번째 결과에서 20이 출력된 이유는? 강제 형변환을 했기 때문이다.

강제 형변환은 큰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 강제적으로 형변환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double j = 10.0인 경우 int로 강제 형변환을 하면 실수의 소수점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j = 10이 된다.

강제 형변환은 변수 명 앞에 (타입)을 적어준다. ex) (int)k

'JAVA 기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객체지향과 은닉성  (0) 2020.03.04
JAVA 객체지향과 상속성  (0) 2020.03.04
JAVA 클래스와 사용 방법  (0) 2020.03.04
JAVA 반복문 사용하기  (0) 2020.03.04
HelloWorld 출력하기  (0) 2020.03.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