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의 5가지 요소
1. Message: 전송되는 정보
2. Sender: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3. Receiver: 메시지를 받는 장치
4. Trasmission Medium: 메시지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경로
5. Protocol: 두개의 기기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원할한 통신을 위해 정한 규격
Data Flow
1. Simplex : 일 방향성 전송이다.
2. Harf-duplex: 양 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한 전송이다.
3. Full-duplex: 양 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Networks
Network란 통신링크로 연결된 일련의 장치다.
컴퓨터나 프린터 등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어떠한 것들이나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Type of connection
1. point-to-point: 두 디바이스가의 dedicated link를 가진 경우를 말한다. 즉 link는 두 디바이스만 사용가능하고 공유가 불가능하다.
2. Multipoint: 둘 이상의 디바이스가 하나의 link를 공유하는 것이다.
Physical topology
1. 망형(Mesh)
: 모든 디바이스를 완전하게 연결하는 방법이다. n개의 디바이스를 가진 경우 n(n-1)/2개의 노드가 필요하다. 하나의 디바이스가 문제가 생기는 경우 전체의 디바이스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디바이스가 많은 경우에 I/O port와 cable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부과되는 단점이 있다. 각 지역 사무실의 전화선이 다른 지역의 모든 사무실과 연결되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 성형(Star)
: 각 디바이스는 Hub(중앙 controller)와 dedicated link를 가지며 다른 디바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만약 다른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무조건 Hub를 거쳐 전송하게 된다. 망형과 다르게 각각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I/O port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비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전체의 디바이스가 Hub에 의존하기 때문에 Hub가 다운된다면 모든 시스템이 죽는다는 단점이 있다.
3. 버스형(bus)
: 망형과 성형이 point-to-point방식으로 통신을 했다면 버스형은 multipoint방식으로 통신을 한다. 따라서 하나의 링크(backbone)를 모든 디바이스가 접근할 수 있다. 버스형의 장점은 설치가 쉽다는 것이다. 하나의 백본 케이블에 여러게의 디바이스가 연결만하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설치된 이후에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백본을 설치할 때 최고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고안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디바이스를 추가할 때 퀄리티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링형(ring)
: 링형은 각각의 디바이스가 오직 이웃 디바이스만 연결하는 방법이다. 디바이스를 제거하거나 추가할 때 두개의 connection만 필요하기 때문에 쉽게 추가,제거 작업을 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알림이 신호를 보내고 네트워크에서 문제가 있음을 바로 알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Network Types
1. LAN(Local Area Network)
: 사적인 소유나 하나의 사무실 혹은 빌딩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다. 각각의 호스트는 식별자와 고유한 주소로 identify된다.
2. WAN(Wide Area Network)
: LAN이 제한적인 크기를 갖는다면 WAN은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를 커버하며 국가나 도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다.
3.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LAN과 WAN 사이의 크기를 가진 네트워크다.
'2020 2학기 전공 정리 > 데이터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Chapter-04: Digital Transmission (0) | 2021.01.01 |
---|---|
DC-Chapter-03: Data and Signals (0) | 2020.12.31 |
DC-Chapter-02: Network Models (0) | 2020.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