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layers란?
: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라는 기관에서 정의한 layere모델이다.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계층으로 이루어졌다.
1. 물리계층
: 일련의 비트스트림을 신호로 바꾼 후 바꾼 신호를 미디어에 실어서 한 홉에 전속하는 역할을 한다.
2. 데이터링크 계층
- hop-to-hop: 들인 프레임을 다음 홉으로 전송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 framing: 데이터를 일정크기로 자른 후 전송한다. 물리계층은 없는 기능이다.
- physical adress: mac adress를 갖는다.
- flowcontrol: 수신자와 송신자 사이에 속도를 조절한다.
- error control
- access control
3. 네트워크 계층
- end-to-end(source-to-destination) delivery
- Logical adressing: IP adress를 갖는다.(대표적인 logical adress)
- Routing: 길을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4. 전송계층
- Process-to-Process: 하나의 기기내에서 전송한다.
- Sevice-point adressing: port번호가 사용된다.(여러개의 브라우저 중에 어떤 브라우저를 선택하는가?)
- Segmentation and reassembly: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송 받은 것을 segmentation 후 reassembly하여 세션 계층에 전송한다.
- Connection control
- Flow control
- Error control
5. 세션 계층
- Digital control
- Synchronization
6. 표현 계층
- Translation
- Compression
- Encryption
7. 응용 계층
: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ex) 웹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L1~L2 -> hardware
L3~L7 -> software
TCP/IP Protocol suite
: TCP/IP Protocol suite은 OSI모델과 완벽하게 매치하지 않는다. original TCP/IP Protocol suite은 4개의 계층으로 나눠지며 네트워크, 인터넷, 전송, 물리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OSI모델과 비교하여 매치할 때는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응용 5계층으로 분리한다. 응용, 표현,세션 계층이 응용 계층으로 매치된다. 네트워크 계층은 반드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전송계층은 반드시 TCP/UDP를 사용해야한다. 전 계층에서 어떠한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상관이 없지만 ITP에서 정의한 인터넷관련 프로토콜만 사용가능하다.
Adressing
- logical address: 컴퓨터 스마트폰을 identify해야 한다. globglobally unique 해야 한다. 관리 주체는 IEEE다.
- ip address: 기계가 갖고 있는 통신채널을 identify해야 한다. ex) wifi, lte, bluetooth
- port num: application을 identify해야 한다. 같은 기기내에서만 unique하면 된다.
'2020 2학기 전공 정리 > 데이터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Chapter-04: Digital Transmission (0) | 2021.01.01 |
---|---|
DC-Chapter-03: Data and Signals (0) | 2020.12.31 |
DC-Chapter-01 (0) | 2020.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