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To-Digital Conversion : digital data를 dgital signal로 보내는 것이다.
- line coding
- block coding
- scrambling
Line Coding
- digital data를 digital signal로 변환하여 보내는 과정이다.
Signal element vs Digital element
Data element
- information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다.
-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signal element
- digital signal의 가장 작은 단위다.
- data element를 나른다.
Data Rate vs Signal Rate
- r은 각각의 signal element에서 나르게 되는 data element의 갯수다.
- Data rate는 초당 전송되는 data element의 갯수다.(bps)
- Signal rate는 초당 전송되는 signal element의 갯수다.(baud)
- 그림의 S는 signal rate로 그림은 bit rate와 signal rate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 S값을 낮추는 것이 최우선이다.
Baseline Wandering
Baseline
- 수신단에서 digital signal을 수신하여 decoding할 때 수신된 signal의 실행평균 또는 기준선
Baseline Wandering
- baseline이 흔들리는 정도
- 연속된 0 또는 1bit가 흔들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좋은 line coding은 baseline wandering을 방지하는 scheme가 필요하다.
DC Component
- 0비트가 연속으로 나타날 때 DC Component가 발생했다고 한다.
- 저주파를 통과하지 못하는 시스템은 DC Component문제를 갖고있다고 할 수 있다.
Synchronization
- 송신자와 수신자가 전달하고 받는 bit interval이 일치하는지
Self-synchronization
- digital signal은 전송중인 data에 timing information을 갖고 있기 때문에 Self-synchronization이 가능하다.
Line Coding Schemes
Unipolar Scheme
- dc성분을 갖지 않는다
- NRZ(Non-return-to-Zero): signal이 0으로 리턴되지 않는다.
- 모든 signal level의 time axis가 한 쪽에 있다.
Polar Schemes - Polar NRZ
- signal level의 time axis가 양쪽에 있다.
- NRZ-L, NRZ-I 두가지가 존재한다.
- NRZ-I의 경우 1비트일 때 inverse가 발생한다. 0비트일 때는 변화가 없다.
- NRZ-I는 상대적으로 dc component와 baseline wandering을 줄여줄 수 있다.
- Signal rate는 N(bit rate)/2로 계산할 수 있다.
Polar Schemes - Polar RZ
- 3개의 value를 갖는다. -> postive, zero, negative
- NRZ와 달리 DC Component가 없다. Sync문제를 없앤다.
-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다.
Polar Schemes - Manchester Encoding
- Manchester 와 Differential Manchester 두가지가 존재한다.
Manchester Encoding
- RZ + NRZ-L
- bit 중간에 transition은 동기화를 제공한다.
Differential Manchester Encoding
- RZ + NRZ-I
- 다음 비트가 0이라면 transition이 발생한다.
Bipolar Schemes
- 3가지 voltage level을 사용한다. -> postive, negativ, zero
- AMI와 Pseudoternary가 있다.
- AMI(Alternate Mark Inversion)는 1을 inversion(postive와 negative)으로 대신한다.
- Pseudoternary는 0을 inversion으로 대신한다.
- DC 성분이 없다. NRZ와 Signal rate가 같다.
Multilevel Schemes
- data speed를 줄이거나 요구되는 bandwidth를 줄이기 위해 고안됐다.
- 패턴 m을 n으로 인코딩하면서 bit per baud를 증가시킨다.
- M: 바이너리 패턴의 길이
- B: 바이너리 데이터
- n: 시그널 패턴의 길이
- L: signaling의 level
Multilevel Schemes -2B1Q
- 두개의 binary 하나의 quaternary
- 4-level signal을 사용한다.
- m=2, n=1, and L=4
- average signal rate S = N/4
Multilevel Schemes - 8B6T
- 8 binary, 6 tinary
- 8bit의 패턴을 6signal element로 변환한다.
Multilevel Schemes - 4D-PAM5
- 5 voltage level이 module을 거치면서 4dimension이 된다.
Block Coding
- 동기화를 보장하고 오류를 감지하기 위해서 고안됐다.
- 블록의 m비트를 n비트로 바꾼다.
- division, substitution, combintion 세가지 step이 있다.
- 연속된 1또는 0을 제거함으로써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 라인코드만으로 문제해결하기 까다로울 때 사용된다.
- digital->dgital의 목적이다.
4B/5B
- NRZ-I를 갖는 block coding이다,
- 이전에 encoding과정을 거치면서 제거함으로써 연속된 0을 갖는 NRZ-I의 단점을 없앤다.
- 3개 이상의 연속된 0이 등장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Scrambling
-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NRZ-L 방식과 라인코딩 방식을 섞은 것은 DC 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거리 통신 시에 적합하지 않다.
- bipolar AMI는 좁은 bandwidth를 갖기 때문에 DC 성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싱크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
- Scrambling 방법으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AMI with Scrambling
- 코드를 scramble함으로써 연속된 0을 다른비트로 대체한다.
- B8Z3의 경우 8개의 연속된 0이 들어오면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
- HDB3은 4개의 연속된 0을 000V 또는 B00V로 대체한다.
Analog-To-Digital Conversion
- Pulse code modulation
- Delta modulation
Pulse Code Modulation(PCM)
- digital signal이 analog signal보다 우월하다는 동기를 가진다.
- sampling, quantization, encoding방식이 사용됟다.
'2020 2학기 전공 정리 > 데이터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Chapter-03: Data and Signals (0) | 2020.12.31 |
---|---|
DC-Chapter-02: Network Models (0) | 2020.12.30 |
DC-Chapter-01 (0) | 2020.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