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information이다.
Signal: 데이터를 전달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Data
- Analog: 연속적인 information을 뜻한다. (real number)
- digital: 불연속적인 information을 뜻한다.(integral number)
Signal
- Analog: 무한대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digital: 제한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필름카메라는 데이터 전송 과정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이 없다. 따라서 화질이 좋다.
디지털 TV는 통신을 하는 과정은 거친다. 그 과정에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한다. 그 유실을 복구하기에는 아날로그보다 훨씬 유리하다.
Periodic Signal: 주기내에 완전한 패턴이 있는 signal이다. 동일한 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Nonperiodic Signal: 특별한 cycle이나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signal이다.
Periodic Analog Signals
- simple periodic analog signal: sine wave라 한다. simpler signal로 분해될 수 없다.
- composite periodic analog signal: 여러개의 sine wave로 구성된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로 periodic analog signal과 nonperiodic digital signal을 사용한다.
Sine Wave -> 대표적인 periodic analog signal이다.
- peak amplitude: 신호세기(Volts)
- frequency: 주기(Hz)
- phase: 위상
Peak Amplitude
: 최고 강도의 절대값이다. peak amplitude가 높을수록 신호가 더 멀리간다.
Frequency and Period
- frequency: 1s에 반복되는 주기의 개수다. Hz의 단위를 사용한다. 낮을수록 신호가 더 멀리간다.
- period: frequency의 역수로 표현될 수 있다. 1s에 한 주기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Phase
: 하나의 주기는 360°이고 Phase는 시간을 0을 기준으로 이동된 waveform을 계산한 것이다.
Frequency and Time Domain
- frequency domain plot은 주파수측면에서 plot을 그린 것이다. amplitude와 frequency의 관계를 보여준다.
- time domain plot은 시간에 따른 주파수를 그린 것이다. amplitude와 time의 관계를 보여준다.
- frequency 와 time domain을 변환할 때는 퓨리에 변환 수식을 이용한다.
composite signals
- 서로 다른 amplitude, frequency, phase를 가진 sinwave들의 집합이다.
- periodic이 될수도 있고 nonperiodic이 될수도 있다.
Bandwidth
- bandwidth는 주파수의 범위를 뜻한다.
- bandwidth는 가장 높은 frequency와 가장 낮은 frequency의 차를 계산한 값이다.
- bandwidth를 알더라도 중심주파수나 최소값과 최대값을 알아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Digatal Signals
- analog signal로 구성됐다.
- badwidth는 무한대다.
- peridinc digital signal의 불연속적인 frequency를 갖는다.
- nonperiodic digital signal의 경우 연속적인 frequency를 갖는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Bit Rate
- bit rate는 1초당 보내지는 bit의 갯수다.
- 단위는 bps(bit per second)다.
- a그림의 경우 1초당 8bit가 보내졌기 때문에 8bps다.
- b그림의 경우 1초당 16bit가 보내졌기 때문에 16bps다. 한 전송 단위가 2bit기 때문에 4종류의 값으로 표현가능하다.
Transmission of Digital Signal
- baseband transmission
- broadband trasmission
baseband transmission
- 디지털 시그널을 아날로그 시그널로 변환없이 그대로 보내는 전송방식이다.
- low-pass channel이 필요하다.
low-pass channel
- low-pass channel이란 bandwidth의 시작점이 0인 채널이다. 즉 주파수 0성분을 갖고 있는 채널이다.
- dedicated medium으로 송신자와 수신자가 독점적으로 이용한다. 대표적으로 LAN이 있다.
- wide bandwidth와 narrow bandwith type이 있다.
broadband transmission
- 주파수 0성분이 없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줘야 한다.
- 변환 시 그림과 같이 modulation이 사용된다. bandpass channel을 사용가능하게 한다.
- wifi와 같은 기술이 해당된다.
Transmission Impairment
신호를 왜곡시키는 대표적인 3가지 요인은 attenuation, distortaion, noise가 있다.
Attenuation
- 저항을 만나 에너지가 손실되는 경우를 뜻한다.
- 증폭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 모양은 변하지 않고 에너지만 손실된다.
- decibel단위로 신호의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p1이 송신점의 신호의 세기라 하고 p2가 도착점의 신호의 세기라 할 때 데시벨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한다.
출발지와 도착지가 같은 경우 db는 0이 된다.
Distortion
- 형태나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 주로 delay가 발생한 경우 나타난다.
- 무선대비 유선이 왜곡과 유실이 적다.
Noise
- 세가지 중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다.
- 외부에서 잡음이 들어오는 경우다.
- terminal noise: 전선에서의 무작위한 모션에 의한 것.
- induced noise: 주로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것.
- crosstalk: 한 전선이 다른 전선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 impulse noise: 외부에서 큰 잡음이 들어오는 경우(번개, 전자기파)
Signal-to-Noise Ratio(SNR): 신호대비 노이즈의 비율이다.
SNR = average signal power/ average noise power
SNR은 큰게 유리하다.
'2020 2학기 전공 정리 > 데이터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Chapter-04: Digital Transmission (0) | 2021.01.01 |
---|---|
DC-Chapter-02: Network Models (0) | 2020.12.30 |
DC-Chapter-01 (0) | 2020.12.30 |
댓글